- 반도체 저장용량 획기적 향상 기대
강유전체 ‘산화하프늄’ 활용 연구
고집적 반도체 구현 가능성 제시
▲ UNIST 이준희 교수(왼쪽 두번째)와 연구팀. |
UNIST(울산과학기술원) 연구진이 반도체 공정에 널리 쓰이는 소재를 활용해 원자 4개에 1비트(bit)의 정보를 저장, 2000TB(테라비트) 정보를 100원 동전 크기 하나 면적에 저장하는 이론상 한계치의 고집적 반도체 구현 가능성을 제시했다.
UNIST(총장 이용훈)는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이준희 교수팀이 기존에 수천개의 원자에 저장되는 정보(1비트)를 단위 원자 수준에 저장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입증하는 논문을 사이언스(Science)지에 2일자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는 ‘강유전체’(Ferroelectrics)에서 단위 원자 수준에 정보(1비트)를 저장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 이론을 적용하면 기존 메모리 반도체의 정보 저장 용량을 1000배 이상 끌어 올릴 수 있다.
강유전체 메모리(FeRAM)는 ‘강유전체’ 내부의 ‘자석 N-S극과 같은’ 전기쌍극자가 외부전압을 따라 정렬되는 ‘분극현상’을 이용해 정보를 저장한다. 전력소모가 적고, 작동이 빠르며, 전원이 끊겨도 정보가 날아가지 않아 기존의 D램이나 플래시 메모를 대체할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로 꼽힌다.
하지만 FeRAM은 저장용량에 한계가 있다. 용량을 늘리려면 하나의 메모리 칩 안에 들어가는 소자 크기를 줄여 최대한 많은 소자를 집적해야 하는데, 강유전체의 경우 물질 크기가 줄면서 정보를 저장하는 원리인 분극현상이 사라진다.
연구팀은 강유전체인 산화하프늄(HfO2)에서 도메인이 아닌 단위격자(Unit Cell) 하나, 즉 산소 원자 4개에 정보 1비트를 저장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입증해냈다. 이는 1비트를 저장하기 위해 원자 수천개가 필요하다는 기존의 연구 패러다임을 뒤집는 획기적인 연구이다. 이 이론을 메모리 반도체에 적용할 경우 1000배 이상 집적도를 끌어 올릴 수 있다.
연구팀은 그래핀과 같은 이차원 물질(원자하나 두께로 얇은 물질)이나 영하 200℃ 이하의 극한 환경에 국한된 ‘평평한 에너지 띠 이론’을 강유전체에 적용했다. 평평한 에너지 띠 이론에 따르면 원자간 탄성 없이 원자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일반적인 강유전체에 정보 입력을 위해서 전압을 가할 경우, 마치 용수철과 같은 원자간 탄성 상호작용 때문에 수십 나노 크기에 이르는 수천개의 원자가 동시에 움직여야 겨우 1비트를 저장할 수 있었다. 반면 산화하프늄은 전압을 인가할 때 이러한 탄성 작용이 사라져 0.5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정도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원자도 하나씩 분리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준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수천개의 원자가 1비트라는 전통적 개념에서 탈피해 단위 원자를 1비트의 정보 저장 매개로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한 획기적인 연구”라며 “산화하프늄으로 기존 보다 1000배 이상 향상된 메모리 용량을 구현할 수 있고, 기존 반도체 CMOS 공정에 적용할 수 있어 상용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경상일보, KSILBO
July 05, 2020 at 07:17PM
https://ift.tt/3f2FRES
UNIST 연구팀 '100원짜리 동전 크기에 2000TB 저장 가능' 입증 - 경상일보
https://ift.tt/2XY4jB3
No comments:
Post a Comment